본문 바로가기
와인 이야기

와알못 탈출 1편! 브루고뉴 와인의 역사

by 김주뱅 2023. 1. 26.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와인의 역사 그중에서도 브루고뉴 와인의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포도밭 전경

브루고뉴

브루고뉴 Bourgogne 지역은 영어로 Burgundy라고도 부릅니다. 이 지역에서 와인을 생산한 역사는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6세기경에는 이 지역이 교회에 포도밭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프랑스 대혁명시기까지 이 지역의 최고 와인은 모두 수도원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수도회

중세시대 브루고뉴는 다양한 수도회의 포도밭이었습니다. 서기 587년 부르군트 프랑크 왕국의 왕인 군트람 Guntram이 이 지역을 교회에 기증하면서 브루고뉴의 교회 포도밭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베네딕트 수도회는 910년에 세워졌는데 이 베네딕트 수도회가 브루고뉴 포도밭의 상당 부분을 갖게 됩니다. 또한 시스테리 안 수도회도 브루고뉴에서 큰 포도원을 세웠었는데 그것이 바로 Clos de Vougeot입니다. 1336년에는 시스테리 안 수도회에서 각 포도밭마다 일정하게 다른 포도를 산출해 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경험을 토대로 수회에서는 각 밭의 구역을 나누고 지역의 떼루아 terroir를 담아내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수도회 사제들은 포도밭을 종교적으로 가꾸었습니다. 비단 좋은 와인이 생산된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매 예배 시마다 포도주를 사용하기도 하고 또 그렇기 때문에 교회 내에서 좋은 포도주의 대한 수요가 끝없이 존재했기 때문에 좋은 와인을 양조하는 수도원은 특혜를 누리기도 하는 등 종교적 현실적 이유에서 포도 재배의 중요성이 올라갔습니다. 와인을 만드는 기술 역시 문자를 읽고 쓸 줄 알았으며 비교적 연구에 몰두할 수 있었던 사제들을 통해 비약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수도회는 와인을 만들 자원, 안정적 기반 그리고 목적의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와인 양조 기술이 발달했다는 건 어떻게 보면 당연한 귀결이었습니다.

 

품질 관리

1395년 8월 6일, 필립 공작은 브루고뉴 지방 와인의 품질을 지키기 위한 명령을 내렸습니다. 필립 공작은 생산성은 뛰어나지만 품질은 비교적 부족하다고 여겨졌던 가메 Gamay 품종을 기르지 못하게 하고 또 생산을 위해 거름을 주는 행위조차 금지했습니다. 

 

이 지역에서 네고시앙 negociant이 나타난 것은 1720년대의 일입니다. 당시 브루고뉴는 파리 Paris에 와인을 공급하는 데 있어 샹파뉴 지방과 경쟁을 벌였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샹파뉴에서도 스파클링 와인이 아니라 브루고뉴와 같은 질감이 얇은 스타일의 레드 와인을 주로 생산했기 때문입니다. 17세기에 접어들면 이미 브루고뉴가 프랑스 왕국으로 편입되면서 수도회 재산이던 포도밭들이 민간으로 점점 넘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나면서 1791년에는 남아있던 교회의 포도밭들이 모두 팔려나갔습니다. 이후 나폴레옹 법에서 유산 상속 시 균등분할을 원칙으로 정하자 포도밭은 이제 쪼개고 쪼개져서 한 개인이 소유하는 몫이 몇 그루의 포도뿐인 경우도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바로 네고시앙이 등장하여 여러 소유주로부터 포도를 사들이고 와인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보르도 와인이 규격화 되던 시기에 브루고뉴 와인에 대해서도 규격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의 규격은 1936년에 비로소 제정됐습니다. 전쟁의 풍파를 겪은 후 1950년대가 되면 브루고뉴에서는 고품질의 와인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여러 가지 부침도 있었는데 바로 칼륨 비료의 사용 논란 등이 그 예였습니다. 칼륨을 비료로 사용하면 포도나무가 자라는 데 유익하고 그렇기 때문에 포도 생산량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칼륨 비료가 사용된 포도는 와인을 담글 때 산도가 떨어진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습니다. 전쟁의 상흔으로 무너져 내린 포도밭을 지탱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써왔던 칼륨 비료가 와인 품질을 저해했던 아이러니였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끝없이 노력한 끝에 지금은 세계 최정상의 와인 산지로 올라설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브루고뉴 지방의 와인 생산 역사를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